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22년 베트남 항공산업 현황 및 전망 2022.07.11 |
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
||||||||||||
2022년 베트남 항공산업 현황 및 전망
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
□ '21년 4/4분기 이후 베트남 경제가 강한 회복세를 보이는 중 ㅇ 베트남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정책 이후 GDP 성장률이 5~7%대를 기록하는 등 베트남 경제가 강한 회복세를 기록
□ 사증면제 입국 허용 및 코로나19 검역절차 폐지로 해외입국자 증가 ㅇ '22년 3월 16일 부 베트남은 한국, 일본 등 13개국* 국적의 입국자에 대해 사증(visa) 면제 입국을 허용
ㅇ 또한, 해외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역절차를 전면 폐지
ㅇ 베트남 당국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 노력으로 해외입국자 수 증가
□ 코로나19 이후 여객운송은 '22년부터, 화물운송은 '21년부터 회복세
ㅇ (여객운송) '22년 상반기 베트남 항공여객 수는 전년동기대비 56.8% 증가한 4,070만명을 기록
ㅇ (화물운송) '22년 상반기 베트남 항공화물 물동량은 전년동기대비 3.2% 증가한 15만 9천톤을 기록
□ 한편, 코로나 팬데믹 및 국제유가 상승으로 베트남 항공사 재정난 심화 ㅇ 국제유가 상승으로 항공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팬데믹 기간 국제선 중단 여파로 재정난을 겪고있는 베트남 항공사들의 운영 부담이 증가
ㅇ 베트남은 항공산업 지원을 위해 항공유에 부과하는 환경세를 인하
□ 베트남 주요 항공사 현황 ㅇ (시장 구조) 베트남 국적항공사 7개사* 중 베트남항공, 비엣젯항공, 밤부항공 등 3개사가 92%의 시장점유율을 갖는 과점구조
① 베트남항공(Vietnam Airlines) ㅇ 베트남항공의 '22년 1/4 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55% 증가한 11조 6,000억 동(약 5억 달러)를 기록
② 비엣젯항공(Vietjet Air) ㅇ '22년 1/4 분기 비엣젯항공의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2% 증가한 4조 5,220억동(1억 9,660만 달러)을 기록
③ 밤부항공(Bamboo Airways) ㅇ '22년 1/4 분기 밤부항공은 2,650억 동(1,150만 달러)의 손실액을 기록(VnEconomy, 2022)
□ 신규 항공사 현황
ㅇ 선에어(Sun Air) - '22년 3월, 부동산 및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영위하는 선 그룹에서 선에어를 출범하여 신규사업 허가 취득 및 항공운송사업 면허 발급
ㅇ (여객수송) '23년까지 코로나 팬데믹 이전 수준의 항공여객수요를 회복할 전망
ㅇ (화물수송) 베트남 제조업 생산량 회복과 다국적기업들의 베트남으로의 생산기지 이전이 계속되면서 베트남 항공화물운송 수요 역시 증가될 것으로 전망
ㅇ (탄소절감) 베트남은 국제민간항공청(ICAO)의 항공탄소배출 절감에 동참하여 항공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 ㅇ (국적항공사 손실) 베트남 국적항공사들은 팬데믹 기간 국제선 중단 여파로 '22년에 약 6억 5천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
ㅇ (대외 악재)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, 중국의 제로-코로나19 정책 지속 시 베트남 항공산업 회복 둔화 가능성
ㅇ (인력 부족) 코로나 19 이후 항공 시장이 회복되고 있으나 베트남 항공사들은 승무원 및 기술 인력 등의 전문 인력 부족 문제가 예상되며 다가오는 하계 성수기가 고비일 것으로 전망
ㅇ (고유가 영향) 고유가 지속 시 항공사들의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되어 항공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 ㅇ (신공항 건설) 베트남 호치민시 인근 동나이성(Dong Nai)에 롱탄(Long Thanh) 공항*을 건설 중이며 오는 '25년 1차 완공 후 운영을 시작할 계획 *호치민시 동쪽으로 40km 떨어지 곳에 위치
ㅇ (기존 공항 확장) 기존 공항들의 수용능력 초과 운영으로 호치민시 떤손녓(Tan Son Nhat) 공항, 중남부 칸화성(Khanh Hoa) 깜란(Cam Lanh) 국제공항을 확장
ㅇ (총괄)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감했던 항공수요가 점차 회복하면서 베트남 항공산업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나 고유가, 세계경기침체 우려 등 대외적 불확실성 상존 ㅇ (항공 인프라) 베트남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항공산업 인프라에 대한 수요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관련 시장 진출전략을 미리 수립하는 것이 필요
- 항공인프라 설계, 건축, 관리 및 컨설팅 서비스, 공항 안전, 소방 등 안전관리 시스템, 공항 관리 및 운영 IT시스템 등 관련 시장 진입을 고려 가능
ㅇ (잠재 시장) 베트남 역시 세계적 추세에 따라 미래 항공산업 경쟁력 확보 노력을 할 것으로 예상
- 이에 수반되는 친환경 항공기, 지속가능한 항공연료, 스마트 공항 등 관련 시장을 선점하여 경쟁력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 필요. 끝.
※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