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22년 상반기 베트남 경제동향 2022.07.18 |
---|
|
2022년 상반기 베트남 경제동향
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
Ⅰ. 경제성장률 o (총 평) '22년 2/4분기 베트남은 제조업 회복, 수출 증가 등으로 시장 전망보다 높은 경제성장률(7.72%)을 보이며 상반기 경제성장률 6.42%를 기록 - 베트남 주요도시 락다운(lock-down)으로 역성장을 기록한 지난 '21년 3/4분기(△6.17%) 이후 4/4분기(5.22%), '22년 1/4분기(5.03%), 2/4분기(7.72%) 등 3분기 연속 5% 이상 성장 - '22년 2/4분기 베트남 경제성장률(7.72%)은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며 '11년 이후 2/4분기 경제성장률 中 최고치를 기록
- 이같은 높은 경제성장률은 베트남 제조·생산활동 정상화, 대내외 소비수요 회복, 무역수지 흑자 등에 기인
o (산업별) '22년 상반기 농림수산업은 2.78%, 공업 및 건설업 7.70%, 서비스업이 6.60% 성장
o (산업구조) 한편 '22년 상반기 산업구조는 농림수산업(11.05%), 공업 및 건설업(39.30%), 서비스업(40.63%), 순생산물세(9.02%)로 형성 Ⅱ. 외국인직접투자(FDI)
□ FDI 유치 실적 o (총괄) '22년 상반기 베트남의 경제재개가 이루어졌으나 연초 해외입국자에 대한 입국 규제의 영향으로 FDI 유치실적은 전년동기대비 8.9% 감소한 140억 3천만 달러*를 기록 * '22. 1. 1~'22. 6.20 집계 기준, 신고기준 투자액(신규투자, 증액투자, 주식매입 등 포함)
o (신규 FDI) 신규 프로젝트는 전년대비 6.5% 감소한 752건으로 총 49억 4천만 달러의 FDI 신고금액을 기록 o (증액투자) 투자액이 증가한 프로젝트는 전년동기대비 5.9% 증가한 487건으로 증액된 투자금은 전년동기대비 65.6% 증가한 68억 2천만 달러를 기록 o (주식매입 등) 한편 자본출자 및 주식 매입액은 전년동기대비 41.4% 증가한 22억 7천만 달러를 기록
o (누계기준) 총 35,184건의 프로젝트, 누적 신고금액 4,279억 7천만 달러, 누적 도착금액은 누적 신고금액의 61.1% 수준인 2,616억 6천만 달러를 기록 * '22. 6.20 집계 기준
Ⅲ. 물가 및 환율 1. 소비자물가지수(Consumer Price Index) o '22년 상반기 베트남 소비자물가지수(CPI)는 전년대비 2.44% 상승
- 올해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상반기 베트남 평균 국내유가가 전년동기대비 51.83% 상승하면서 베트남 CPI 상승에 1.87%p를 기여 - 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화로 인한 외식수요 증가로 올해 상반기 평균외식비가 전년동기대비 3.5% 증가하면서 베트남 CPI 상승에 0.3%p를 기여
o 한편 '22년 상반기 근원물가지수(Core Inflation)는 1.25% 상승
2. 생산자물가지수(Producer Price Index) o '22년 상반기 농림수산업 생산자물가지수(PPI)는 1.38% 증가 - 농업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대비 △0.09% 감소하였고 임업, 수산업은 각각 전년동기대비 1.92%, 5.96% 상승을 기록 o 같은 기간 공업 생산자물가지수는 4.75% 상승 - 러시아·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에너지 공급망 차질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공업 PPI가 크게 증가 - 광업 부문 22.85% 상승, 제조·가공 부문 4.14% 상승 o 한편, 서비스업 생산자물가지수는 3.75% 상승 - 운수·창고업이 5.86% 상승, 숙박·음식점업은 4.43% 상승, 교육서비스업 0.74% 상승 o 원자재 물가지수는 전년동기대비 6.04% 상승 - 농림수산업 원자재 물가지수 6.04% 상승, 제조·가공업 물가지수 5.78% 상승, 건설업 원자재 물가지수도 9.32% 상승
3. 환율 및 외환보유고 o 베트남 중앙은행(SBV)의 고시환율은 1 USD = 23,110 VND를 기록 ('22년 6월 30일 기준) o '22년 상반기 VND/USD 환율은 안정적으로 유지 - 상반기 베트남 동화(VND)는 아시아 국가 통화 중 가장 안정적인 환율을 유지
Ⅳ. 고용 o 베트남 실업률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저치(2.39%)를 기록하며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 - '22년 상반기 실업률은 전년대비 0.13%p 감소한 2.39%를 기록 ※ 1/4분기 실업률 : 2.46%(0.04%p↑), 2/4분기 실업률 : 2.32%(0.3%p↓) - '22년 5월 입국 시 코로나 검역절차 폐지 및 동남아시아게임(SEA Games)개막 등 관광객 수 증가로 실업률이 크게 감소
o '22년 상반기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전년동기대비 40만 명 증가한 5,140만 명을 기록 o 베트남 제조·생산 정상화 및 국내수요 회복으로 공업 및 건설업, 서비스업 고용 증가, 농림수산업 부문 고용은 소폭 감소
Ⅴ. '22년 하반기 경제 전망
o (총 괄) 하반기는 기저효과*, 국내외 소비수요 회복 등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이 예상되며 '22년 경제성장률은 5~6%대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* '21년 3/4분기와 4/4분기 경제성장률은 각각 △6.02%, 5.22%를 기록 ※ 기관별 '22년 베트남 경제성장률 전망치 - ADB(6.5%), Moody's(6.5%), Fitch(6.1%), IMF(6.0%), World Bank(5.3%)
o (무 역) '22년 상반기 국내 제조기업의 생산량 및 외부 수요가 회복되면서 증가하였던 수출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무역수지 흑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
o (내 수) 정부의 위드코로나 정책 및 350조 동(약 152억 달러) 규모의 대규모 재정통화지원 정책으로 소매부분을 중심으로 활성화된 내수경기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
o (FDI) '22년 하반기 베트남 FDI 유치 부문은 세계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을 전망 o (관 광) 해외입국자에 대한 코로나 방역 관련 규제를 전면 폐지하면서 관광부문이 점차 회복될 것으로 기대
o (환 율) '22년 하반기에는 USD/VND 환율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
※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|